웹진(아이사랑)
웹진(아이사랑) TOP
사회보장정보원
2018년 겨울 제53호

[웹진 아이사랑 제46호] 육아 탐구중 - 아이와 공감언어 익히기

육아 탐구중

아이와 공감언어 익히기

글. 민병직(경기도 삼가초등학교장, 병설유치원장)
『내 아이가 듣고 싶은 말』, 『아이, 당신의 것이 아니다』 등 출간
아이와 감정을 교류할 때 선제조건은 신뢰감
민병직 교장
 

아이는 꽃씨와 같다

보통 아이들은 12개월 쯤 되면 언어로 의사를 표현하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증대된다. 이 과정에서 성취감과 좌절감을 맛보기도 하고 부모들 역시 아이의 행동에 따른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아이와 좋은 감정을 교류하려면 선제조건이 있다. 바로 신뢰감이다. 신뢰감은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필수 요건으로서 아이와 극간을 좁혀주기도 하고 벌어지게 만들기도 한다. 사육사들이 동물을 훈련시키거나 길들일 때 제일 먼저 하는 일이 동물에게 신뢰감을 심어주는 일이다. 아무리 영리한 동물이라도 처음부터 강한 훈련을 시키지 않는다. 사육사가 하는 일이란 처음에는 그냥 ‘같이 놀아주는 것’이 전부이다. 그래야 신뢰감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엄마나 교사가 흙이라면 아이는 꽃씨와 같은 존재이다. 씨앗이 싹을 틔워 꽃을 피우려면 적절한 토양이 필요하다. 엄마나 교사의 역할은 아이가 훌륭히 성장할 수 있도록 자양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자양분이란 지시, 명령, 비교, 통제와 같은 것이 아니라 아이의 잠재된 능력이 발휘 될 수 있도록 돕는 말과 행동을 의미한다.

부모나 교사는 물론 아이 역시도 자신의 감정이 서로에게 전달되거나 수용되고 있다면 매우 좋은 감정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일부의 부모들은 아이를 지금 모습 그대로 받아들이면 아이가 더 이상 성장하지 않을 거라 믿는다. 그래서 ‘다른 애들 좀 봐라’하면서 아이를 닦달하거나 비교한다. 이렇게 해야 아이가 변화할 것이라 생각한다.

 

소통의 방해요인, 간섭과 참견

아이가 모래성을 쌓는 경우를 보자. 많은 엄마들은 아이가 모래성 쌓은 것을 먼발치에서 바라보려 하지 않는다. 바라만 보고 있으면 불안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간섭하고 참견한다.

① “성은 이렇게 생겼단다.”
② “물가에서 쌓으면 물이 스며들어 금세 무너진단다.”
③ “금세 무너질 모래성인데 뭣 하러 쌓니?”
④ “엄마가 도와줄까?”
⑤ “성 옆으로 길을 만들었으면 좋겠다.”
⑥ “지난번에 희수는 문을 여러 개 만들던데.”

이 대화를 들여다보면 아이와 소통하지 못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①은 아이가 배우기를 바라는 말이다. ②는 부모의 불안을 아이에게 전달하는 말이다. ③은 일의 무의미함을 설명하는 말이다. ④는 아이의 요청이 없는데도 간섭하는 말이다. ⑤는 엄마의 생각을 아이에게 끼워 맞추려고 하는 말이다. ⑥은 남과 비교하는 말이다.

이런 말들은 ‘엄마가 놀랄 거야’, ‘엄마에게 솜씨를 뽐내야겠어’라고 생각한 아이의 감정을 달아나게 만든다. 아이는 나름대로의 생각을 담아 모래성을 쌓는데도 엄마는 이렇게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려 하고 자신의 생각과 방법을 일러주려 한다. 위의 대화에서 보면 엄마의 생각이라고 더 깊거나 훌륭하지 않다. 그럼에도 아이의 행동과 생각에 가능한 많은 영향을 주려 한다.

교육학자들은 이런 간섭과 참견에 거부감을 갖는다. 아이가 무엇에 집중하고 있을 때의 간섭은 소통을 방해하고 집중력을 저해하며 자존감을 약화시킨다고 말한다.

아이의 마음을 열게 하는 표현

 

아이의 마음을 열게 하는 표현, 닫게 하는 표현

아이와 하나 되는 가장 좋은 기술은 마음을 읽어주는 공감언어를 사용하는 일이다. 공감언어는 부모나 교사 자신의 느낌, 감정, 요구와 같은 것을 드러내지 않고 아이의 처지를 이해하고 아이의 감정을 드러내도록 이끈다. 반면 비공감언어는 아이의 감정을 억제하게 만든다. 다시 말해 공감언어는 마음을 열게 하고 비공감언어는 마음을 닫게 한다.

마음을 열게 하는 공감언어 마음을 닫게 하는 비공감언어
“그래?” “오~.” “맞아.” “그렇지.” “옳커니.” “정말?” “왜?” “정말이니?” “와~.” “그래서?” “저런.” “아뿔싸” “참 재미있구나, 와~.” “내 이야기 같다, 와~.” “겨우 그거냐?” “이런 답답” “뭐~?” “그거 말이냐?” “멍청하긴.” “이런 바보.” “참 내~.” “어쩌라고” “어이없다.” “웃기고 있네” “병신.” “빨리 말해.” “그래서 어쩔 거야?”

짧은 표현이라도 자신의 말이 수용되고 존중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 아이는 감정을 드러내어 말을 이어간다. 그러나 아무리 짧은 표현이라도 자신의 말이 수용되고 있지 않다고 여기게 되면 마음과 더불어 말문을 닫는 경우가 많다.

좀 더 적극적으로 아이의 말문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좀 긴 방식의 말이 좋다. 적극적으로 말문을 터뜨리게 하는 이런 말은 아이의 사고력과 상상력을 촉진시키며 아이의 닫힌 마음을 열게 하는 참 좋은 대화 기법이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으면 해 보렴.”
“네 이야기를 더 듣고 싶은데?”
“그래서 어떻게 됐니?”
“뒷이야기가 궁금하구나.”
“왜 그런 일이 벌어졌을까?”
“네가 주인공이라면 어떻게 했겠니?”
“그 아이가 뭐라고 했니?”

그러나 다음과 같은 말로는 아이의 마음을 활짝 열 수 없다. 아이와 더욱 가까워지고 싶다면 이렇게 바꾸어 말하는 연습을 해보자.

“엄마가 하라는 대로 해.” → “그런 생각이었구나.”
“다 너를 위해서 그러는 거야.” → “네 생각을 말해 보렴.”
“꼭 그걸 해야 되겠니?” → “그걸 하면 힘들 텐데.”
“네가 그걸 어떻게 한다고 그러니?” → “한 번 해 봐. 실패도 해봐야 되는 거야.”
“그것 밖에는 못하겠니?” → “좀 있으면 다른 것도 너끈히 하겠구나.”

 

 

엄마와 교사를 위한 팁 : 아이와 소통하는 5가지 원칙

소통하는데도 원칙이 있다. 기분에 따라 말하거나 아이라고 얕잡아 대하면 소통하기 어렵다.
다음 소개하는 5가지는 아이와 소통하는 아주 좋은 기술이면서 아이와 하나 되는 유용한 방법이다.

 

▶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긍정적으로 말하기
아이를 부정적으로 낙인찍는 것은 금물이다. 모든 것을 해낼 수 있는 아이, 무한 능력을 소유한 아이, 뛰어난 창의성을 가진 아이, 바른 도덕성을 가진 아이로 바라보고 늘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긍정적으로 말하자.
▶ 믿어주고 지켜보기
아이를 변화시키고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아이가 하는 일을 믿고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가 아무리 말썽을 피워도 지켜보면서 “와, 힘들었겠구나. 너는 엄마의 예쁜 딸이지, 사랑해!”하며 꼭 안아주면 아이는 마음을 열고 다가오게 되어 있다.
▶ 마음 읽어주기
마음을 읽어주는 일은 소통의 시작이다. 아이가 힘들어할 때 “많이 힘들었구나.” “엄마가 화내서 우울했구나.” “엄마가 무서웠구나.”하고 말하면 아이는 금세 닫혔던 마음을 열고 좋은 감정으로 화답한다.
▶ 재촉하지 않기
프랑스의 철학자이며 계몽사상가인 루소Rousseau는 『에밀』에서 ‘인생에서 가장 위험한 시기는 출생부터 12살이 될 때까지의 기간이다. 그러므로 초기의 교육은 전적으로 소극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나친 조기교육, 다시 말해 재촉의 위험성을 설파한 것이다. 잘 뛰고 있는 아이에게 지나치게 재촉하면 넘어질 수 있음을 기억하자.
▶ 인정해주기
세상에 내 아이와 똑같은 아이는 없다. 겉모습은 물론 성격, 사고방식, 타고난 기질, 성향까지 모든 것이 다르다. 조용한 성격을 자진 사람이 활발한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잘못되었다고 할 수 없듯 아이의 생각은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일 뿐이다.
웹진 정기구독 신청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네이버포스트
페이스북
사회보장정보 브리프
사회보장정보원 소식
웹진 정기구독 신청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네이버포스트
페이스북
사회보장정보 브리프사회보장정보원 소식